DVS 분석조건 설정하기(time, dm/dt)
DVS 분석조건 설정하기(time, dm/dt) 스테이지를 변경하는 조건, 시간(time)과 질량변화율(dm/dt) 둘 중 무엇으로 하면 좋을까? Method 설정 자유도가 높은 DVS분석 수분흡착분석기, DVS는 분석 자유도가 아주 높아 설정해야 할 조건도 많은 편입니다. 그렇다 보니 조건을 설정할 때 특히 많은 분들이 더욱 까다롭게 느끼시는 것 같은데요. 오늘은 DVS 분석 조건
DVS 분석조건 설정하기(time, dm/dt) 스테이지를 변경하는 조건, 시간(time)과 질량변화율(dm/dt) 둘 중 무엇으로 하면 좋을까? Method 설정 자유도가 높은 DVS분석 수분흡착분석기, DVS는 분석 자유도가 아주 높아 설정해야 할 조건도 많은 편입니다. 그렇다 보니 조건을 설정할 때 특히 많은 분들이 더욱 까다롭게 느끼시는 것 같은데요. 오늘은 DVS 분석 조건
DVS를 이용해 흡착열(Heat of adsorption)을 구하는 방법 DVS Carbon 분석을 통해 수증기나 이산화탄소 흡착열 구하는 방법 흡착열의 개요와 측정하는 이유 ※ DVS Carbon을 통한 수분, 이산화탄소의 흡착 시 대부분의 경우에 발열 과정이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발열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흡착열(Heat of adsorption)은 기체 또는 액체 분자가 고체 표면에 흡착할
SEM을 이용한 표면 성분분석(EDS)과 XPS 분석의 차이 대표적인 표면 원소분석 방법인 EDS와 XPS의 차이점 비교 포스팅 개요 EDS 분석과 XPS 분석은 표면의 성분 원소를 분석할 때 자주 활용하는 장비입니다. 2가지 모두 X-ray와 관련된 원리를 활용해 표면의 원소에 대해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이런 유사성으로 인해서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흡착 방법: DVS Carbon과 BET 분석 대표적인 가스 흡착 분석법 중 하나인 DVS Carbon과 BET의 주요 특징 비교 BET와 DVS Carbon 개요 BET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것처럼 가스 흡착 분석기인 비표면적측정기의 작동 원리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의 흡착을 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설정한 압력만큼 기체를 조금씩 주입하고 각 압력
비표면적 측정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 분석의 특징 BET를 이용한 CO₂ 흡착 분석 결과의 특징 BET 분석에 다른 가스를 사용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BET 분석은 N₂, Ar 등의 불활성 기체를 이용하여 시료의 비표면적 및 기공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법 입니다. 하지만 해당 분석 기기를 불활성 기체가 아닌 CO₂ 가스를
조해가 일어나는 임계상대습도(CRH) 측정하기 DVS 분석을 통해 실제로 조해가 일어나는 습도를 찾는 방법 임계상대습도(CRH)는 Critical Relative Humidity의 약어로 조해성이 있는 물질이 공기 중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스스로 용해되기 시작하는 습도, 즉 조해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대습도의 임계 값을 의미합니다. 물질이 스스로 녹기 시작하는 조해(Deliquescence)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한 바
조해성(Deliquescence)을 DVS로 확인하는 방법 다양한 습도 환경에서 시료에 조해가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방법 조해성은 고체 상태의 어떤 물질이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해 흡수한 수분에 의해 스스로 용해(Dissolution) 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조해성은 대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인 흡습성(Hygroscopicity)과 관련이 있으며, 조해성 물질은 수분을 흡수하면 할수록 용해 에너지가 낮아져 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