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소재의 FT-IR 분석 결과 예시

PET / PE / Parafilm의 실제 분석 예시를 통한 라이브러리 서치 기능 소개

Total Views: 423Daily Views: 2

고분자 소재의 FT-IR 분석 개요

이전의 포스팅에서는 IR 스펙트럼 DB와의 매칭을 수행하는 라이브러리 서치 기능의 개요를 소개하였습니다. FT-IR 분석은 특히 고분자(polymer) 분석에서 중요한 분석으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예시를 보면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지 살펴보겠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시거나 분석이 필요하신 경우에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능 사용 예시 : 고분자 물질 3종 (PET / PE / Parafilm)

예시는 총 3가지 시료를 준비했습니다. 2가지는 고분자 재료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PE (Polyethylene) 이고, 하나는 제품 시료Parafilm(Polyolefin 기반) 인데요. 각각 라이브러리 서칭을 통해서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먼저 다음의 PET 분석 결과를 볼까요? 이전 포스팅에서도 확인했던 PET 소재의 서칭 결과입니다. 역시 DB에 등록되어 있던 PET 소재와의 유사도가 96.62%정도로 아주 높은 편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스펙트럼 또한 육안으로 보아도 유사도가 꽤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ET IR Spectrum (Sample vs DB)

FT-IR 라이브러리 서칭 스펙트럼 비교 예시

서칭 결과 유사도 리스트

다음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한 PE의 결과입니다. Intensity에는 차이가 있지만,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도 유사한 스펙트럼을 나타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순수한 원재료를 분석하는 경우, 명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소재 연구원과 품질관리 담당자들이 FT-IR 분석에 특히 관심을 갖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고분자를 기반으로 제작된 시료는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PE IR Spectrum (Sample vs DB)

다음은 파라 필름(Parafilm) 주로 파라핀 왁스와 폴리에틸렌(PE)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제품의 분석 결과입니다. 해당 제품은 제약이나 바이오, 소재 분야에서 용기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쉽도록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화합물 상태의 소재를 FT-IR 분석을 수행한다면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놀랍게도 아주 높은 유사도로 Parafilm이 도출되었습니다. 이처럼 라이브러리에 등록되어 있는 제품이라면 그 역시 매칭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이물질과 같이 전혀 정보가 없는 미지 시료의 분석이 필요하다면 라이브러리 기능을 이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주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arafilm IR Spectrum (Sample vs DB)

파라필름 유사도 매칭 리스트

MCC의 분석 서비스가 궁금하다면?

분석서비스 보러가기 >

더 유익한 분석 정보가 필요하다면?

다른 게시물 보러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