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특성분석센터

About mcckorea1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mcckorea1 has created 53 blog entries.

DSC와 DTA의 차이: 주요 열분석 기법 비교

DSC와 DTA의 차이: 주요 열분석 기법 비교 열에 의한 반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두 가지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포스팅 개요 재료의 열적 특성을 파악할 때 빠질 수 없는 두 가지 대표적인 분석 법이 있습니다. 바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와 DTA(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분석인데요. 두 방식은 기기의

By |2025-07-02T12:28:33+09:007월 2nd, 2025|열분석|0 댓글

FT-IR Compare 분석으로 소재 품질관리 하기

FT-IR Compare 분석 모드로 소재 품질관리 하기 레퍼런스 물질(정상 제품)과 비교 물질의 IR 스펙트럼 비교를 통한 소재의 품질관리 방법 FT-IR Compare 분석 개요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원재료나 제품 성분에 미세한 차이가 있어도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기준에 따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1차적으로 빠르고 간단하게

By |2025-06-27T12:12:42+09:007월 2nd, 2025|광학분석|0 댓글

소재의 표면 특성에 따른 수분 흡착량 비교 분석(SEM/DVS)

소재의 표면 특성에 따른 수분 흡착량 비교 분석(SEM/DVS) 종이와 고분자 기반의 실험용 와이퍼의 흡습성과 표면 형상의 분석 결과 비교 포스팅 개요 소재의 표면 특성에 따라 수분 흡수량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이번 비교 실험에서는 셀룰로오스 기반의 포스트잇(Post-it)과 합성섬유로 만든 실험용 와이퍼를 대상으로 수분 흡착 성능을

By |2025-06-18T10:43:52+09:006월 23rd, 2025|흡착분석|0 댓글

열 분석의 변수 : 고분자의 열이력(Thermal history)

고분자 DSC 분석의 변수 : 열이력(Thermal history) 고분자 시료의 중요한 특성인 열 이력에 대해 알아봅시다 포스팅 개요 물질의 열 특성을 파악할 때 널리 활용되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차주사열량법) 분석. 하지만 그냥 단순히 가열만 한다고 해서 모든 걸 알 수 있는 건 아닙니다. 특히 열이력(Thermal History)이라고 불리는, 시료가

By |2025-06-13T16:44:23+09:006월 16th, 2025|열분석|0 댓글

FT-IR을 이용한 이물질 분석 사례

FT-IR을 이용한 이물질 분석 사례 FT-IR을 이용한 소재의 이물질 오염 여부 분석 방법 소개 FT-IR 이물질(오염) 분석 개요 분석 업무를 하다 보면, 시료에 예상하지 못한 이물질이 섞여 있는지 확인해야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비 중 하나가 바로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인데요.

By |2025-05-16T16:23:24+09:006월 2nd, 2025|광학분석|0 댓글

FT-IR 모드 비교: ATR vs TRN, 어떤 방식을 선택할까?

FT-IR 분석 모드 비교: ATR vs TRN, 어떤 방식을 선택할까? FT-IR의 대표적인 2가지 분석 모드의 비교,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반사 모드 vs 투과 모드 이전의 포스팅들에서 대표적인 분석 방식인 ATR 모드와 TRN 모드에 대해 각각 살펴보았습니다. 두 방식은 모두 FT-IR 분석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법이지만 분석 방식에서

By |2025-05-15T16:13:29+09:005월 26th, 2025|광학분석|0 댓글

FT-IR 분석 방법 : TRN mode(투과 모드)

FT-IR의 분석 모드 중 TRN 모드는 무엇일까? FT-IR의 가장 기본적인 분석 모드 중 하나인 TRN 모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FT-IR의 또 다른 강자, Transmission 모드 FT-IR 분석은 크게 2가지 분석 방법을 많이 이용합니다. 반사를 이용한 ATR 모드와 투과를 이용한 TRN 모드(Transmission mode, 투과 방식)인데요. 이 두 가지 방법은

By |2025-05-21T11:24:34+09:005월 19th, 2025|광학분석|0 댓글

FT-IR 분석의 ATR 모드란 무엇인가요?

FT-IR의 분석 모드 중 ATR 모드는 무엇일까? FT-IR의 가장 기본적인 분석 모드인 반사(ATR) 모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FT-IR 분석의 핵심, ATR 모드 FT-IR(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은 물질의 작용기나 화학 구조를 분석하는 데 널리 활용되는 대표적인 분석 기법입니다. 그중에서도 ATR 모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인데요. 반사 모드로

By |2025-05-21T11:24:56+09:005월 15th, 2025|광학분석|1 댓글

DVS Carbon을 활용한 함수량(Moisture content) 측정 방법

DVS Carbon을 활용한 함수량(Moisture content) 측정 방법 DVS 시험을 통해 25℃, RH 26% 환경을 가정하여 소재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방법 소재의 함수량 측정 개요 함수율(Moisture Content)은 다양한 소재의 보관 안정성, 흡습 특성, 가공 적합성 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MCC 분석 서비스인 DVS Carbon 분석을 활용하면 함수율을

By |2025-05-14T11:59:37+09:005월 14th, 2025|흡착분석|0 댓글

DVS 분석: 유럽약전(EP) 기준 흡습성(hygroscopicity) 시험

DVS를 통한 유럽약전(EP) 기준 흡습성(hygroscopicity) 시험 유럽약전에 기재되어 있는 흡습성 시험 방법에 따른 흡습성 판단 유럽약전의 흡습성 시험 방법과 흡습성 분류 기준 유럽약전에는 시료의 흡습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일정한 조건에서 시료를 보관한 뒤, 질량 변화를 기준으로 흡습성을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시험법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험

By |2025-04-30T17:00:36+09:004월 30th, 2025|흡착분석|0 댓글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