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특성분석센터

About mcckorea1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mcckorea1 has created 53 blog entries.

부력과 대류효과가 TGA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부력과 대류현상이 TGA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TGA 기기 특성상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온도 상승 시 질량이 같이 증가하는 현상에 대한 이해 TGA 분석 시 고온에서 질량이 증가하는 이유 TGA 분석을 진행하다 보면, 고온 영역에서 질량이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오히려 질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경험하며 당황한 적이

By |2025-04-30T14:43:23+09:001월 16th, 2025|열분석|0 댓글

EDS 성분 분석 결과 표를 읽어보자

EDS 분석 결과 표를 읽어보자 EDS 분석 결과 중 Map sum spectrum table에 담겨져 있는 정보 EDS 분석 결과 해석 방법 개요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분석 결과에서 아래와 같은 표를 많이 보셨을 텐데요. 많은 정보가 들어있지만 생소하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하셨던 표의

By |2025-04-30T14:40:52+09:001월 13th, 2025|현미경분석|0 댓글

표면 이물질을 빠르게 검사하는 방법(EDS분석)

표면 이물질을 빠르게 검사하는 방법(EDS분석) 표면의 성분 원소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대표적인 분석 방법 EDS를 소개합니다 EDS를 통한 표면의 이물질 확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FE-SEM 분석 중 가장 수요가 높은 EDS 분석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 중 하나에 대해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EDS 분석은 현미경 이미지와 함께 구성 원소에 대한

By |2025-04-30T14:39:34+09:001월 8th, 2025|현미경분석|1 댓글

FT-IR으로 미지 시료의 작용기를 분석해보자

FT-IR으로 미지 시료의 작용기를 분석해보자 작용기 정보가 없는 미지시료의 작용기를 FT-IR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 미지시료의 FT-IR 분석 개요 FT-IR은 IR nonactive인 물질이어서 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거나, 너무 복잡한 화합물로 스펙트럼 피크(Peak) 간의 중첩이 심해 구분이 어려운 경우 등 일부 제한되는 상황만 제외하면 간단하게 시료의 결합기와

By |2025-04-30T14:27:56+09:001월 6th, 2025|광학분석|0 댓글

DSC 결과 차이를 통해 보는 입자의 결정성

DSC 결과를 통해 보는 입자의 결정성 분자나 이온의 배열(결정성)에 따른 DSC 분석 결과의 차이 DSC를 통한 입자의 결정성 분석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분자 또는 원자, 이온)의 배열에 따라 소재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은 달라지는데요. 이런 특성은 DSC 분석 결과에도 차이를 만듭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분자의 배열에 따라서 발생하는

By |2025-04-30T14:24:06+09:001월 2nd, 2025|열분석|0 댓글

DVS 분석조건 설정하기(time, dm/dt)

DVS 분석조건 설정하기(time, dm/dt) 스테이지를 변경하는 조건, 시간(time)과 질량변화율(dm/dt) 둘 중 무엇으로 하면 좋을까? Method 설정 자유도가 높은 DVS분석 수분흡착분석기, DVS는 분석 자유도가 아주 높아 설정해야 할 조건도 많은 편입니다. 그렇다 보니 조건을 설정할 때 특히 많은 분들이 더욱 까다롭게 느끼시는 것 같은데요. 오늘은 DVS 분석 조건

By |2025-04-30T14:18:37+09:0012월 24th, 2024|흡착분석|0 댓글

DVS를 이용해 흡착열(Heat of adsorption)을 구하는 방법

DVS를 이용해 흡착열(Heat of adsorption)을 구하는 방법 DVS Carbon 분석을 통해 수증기나 이산화탄소 흡착열 구하는 방법 흡착열의 개요와 측정하는 이유 ※ DVS Carbon을 통한 수분, 이산화탄소의 흡착 시 대부분의 경우에 발열 과정이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발열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흡착열(Heat of adsorption)은 기체 또는 액체 분자가 고체 표면에 흡착할

By |2025-04-30T14:15:53+09:0012월 20th, 2024|흡착분석|0 댓글

SEM을 이용한 표면 성분분석(EDS)과 XPS 분석의 차이

SEM을 이용한 표면 성분분석(EDS)과 XPS 분석의 차이 대표적인 표면 원소분석 방법인 EDS와 XPS의 차이점 비교 포스팅 개요 EDS 분석과 XPS 분석은 표면의 성분 원소를 분석할 때 자주 활용하는 장비입니다. 2가지 모두 X-ray와 관련된 원리를 활용해 표면의 원소에 대해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이런 유사성으로 인해서

By |2025-04-30T14:14:12+09:0012월 17th, 2024|현미경분석|1 댓글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흡착 분석: DVS Carbon과 BET의 차이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흡착 방법: DVS Carbon과 BET 분석 대표적인 가스 흡착 분석법 중 하나인 DVS Carbon과 BET의 주요 특징 비교 BET와 DVS Carbon 개요 BET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것처럼 가스 흡착 분석기인 비표면적측정기의 작동 원리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의 흡착을 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설정한 압력만큼 기체를 조금씩 주입하고 각 압력

By |2025-04-30T14:10:45+09:0012월 12th, 2024|흡착분석|0 댓글

비표면적 측정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 분석의 특징

비표면적 측정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 분석의 특징 BET를 이용한 CO₂ 흡착 분석 결과의 특징 BET 분석에 다른 가스를 사용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BET 분석은 N₂, Ar 등의 불활성 기체를 이용하여 시료의 비표면적 및 기공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법 입니다. 하지만 해당 분석 기기를 불활성 기체가 아닌 CO₂ 가스를

By |2025-04-30T12:55:43+09:0012월 9th, 2024|흡착분석|0 댓글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