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와 DTA의 차이: 주요 열분석 기법 비교
DSC와 DTA의 차이: 주요 열분석 기법 비교 열에 의한 반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두 가지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포스팅 개요 재료의 열적 특성을 파악할 때 빠질 수 없는 두 가지 대표적인 분석 법이 있습니다. 바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와 DTA(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분석인데요. 두 방식은 기기의
DSC와 DTA의 차이: 주요 열분석 기법 비교 열에 의한 반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두 가지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포스팅 개요 재료의 열적 특성을 파악할 때 빠질 수 없는 두 가지 대표적인 분석 법이 있습니다. 바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와 DTA(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분석인데요. 두 방식은 기기의
고분자 DSC 분석의 변수 : 열이력(Thermal history) 고분자 시료의 중요한 특성인 열 이력에 대해 알아봅시다 포스팅 개요 물질의 열 특성을 파악할 때 널리 활용되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차주사열량법) 분석. 하지만 그냥 단순히 가열만 한다고 해서 모든 걸 알 수 있는 건 아닙니다. 특히 열이력(Thermal History)이라고 불리는, 시료가
TG-DTA 기기의 분석 원리 및 모식도 TG-DTA 분석의 개요와 분석 기기의 측정 원리 TG-DTA(STA) 분석의 개요 한 번의 측정으로 시료의 질량 변화와 열 반응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 있다면 어떨까요?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시에 2가지 측정이 가능한 TG-DTA 분석(Thermogravimetri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을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TGA 분석은 시료를 온도
Real view STA를 통한 녹는점 분석 금속의 TG-DTA 분석을 통한 녹는점 측정 및 실시간 Real view 이미지 확인 금속의 Real view STA 분석 지난 포스팅에서는 고분자 소재의 열분해 과정을 TG-DTA를 활용해 데이터와 이미지로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속 시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할 경우, 어떤 결과를 얻을
TG-DTA Real View 분석예시 1: 고분자의 열분해 고분자 시료의 TG-DTA 데이터 분석 및 실시간 Real view 이미지 관찰 고분자 물질의 Real view TG-DTA 분석 Real View 기능이 탑재된 MCC의 STA 분석은 연구원에게 엄청난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만 확인할 수 있는 기존의 TG-DTA 분석에서 분석 중 시료 이미지를
DSC 분석에서 승온 속도의 중요성 동일한 시료를 서로 다른 승온 조건으로 분석했을 때 결과의 차이 DSC 승온 속도란 무엇인가요? TGA나 DSC와 같은 열분석에서는 온도를 변화시키는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데요. 이것을 '승온 속도'라고 말합니다. 대부분 1분당 얼마의 온도를 변화할 것인지 '00℃/min'와 같은 단위를 사용합니다. 냉각 시에도 편의상 승온
부력과 대류현상이 TGA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TGA 기기 특성상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온도 상승 시 질량이 같이 증가하는 현상에 대한 이해 TGA 분석 시 고온에서 질량이 증가하는 이유 TGA 분석을 진행하다 보면, 고온 영역에서 질량이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오히려 질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경험하며 당황한 적이
DSC 결과를 통해 보는 입자의 결정성 분자나 이온의 배열(결정성)에 따른 DSC 분석 결과의 차이 DSC를 통한 입자의 결정성 분석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분자 또는 원자, 이온)의 배열에 따라 소재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은 달라지는데요. 이런 특성은 DSC 분석 결과에도 차이를 만듭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분자의 배열에 따라서 발생하는
DSC 피크 해석: 상변화와 화학반응 분석 DSC를 통한 소재의 상변화 또는 화학 반응의 확인 DSC를 통한 소재의 상태 변화 및 기타 화학 반응의 확인 지난 포스팅에서는 DSC를 통한 고분자 소재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참고링크: DSC 결과 해석 유리전이온도) 유리전이온도와 더불어 DSC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DSC 결과 해석: 유리 전이 온도(Tg) DSC 결과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리 전이 DSC 분석 결과의 해석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분석은 시료의 물리적 및 화학적 반응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분석 기법입니다. 그러나 결과 해석 시 시료의 특성과 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