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특성분석센터

소재의 표면 특성에 따른 수분 흡착량 비교 분석(SEM/DVS)

소재의 표면 특성에 따른 수분 흡착량 비교 분석(SEM/DVS) 종이와 고분자 기반의 실험용 와이퍼의 흡습성과 표면 형상의 분석 결과 비교 포스팅 개요 소재의 표면 특성에 따라 수분 흡수량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이번 비교 실험에서는 셀룰로오스 기반의 포스트잇(Post-it)과 합성섬유로 만든 실험용 와이퍼를 대상으로 수분 흡착 성능을

By |2025-06-18T10:43:52+09:006월 23rd, 2025|흡착분석|0 댓글

DVS Carbon을 활용한 함수량(Moisture content) 측정 방법

DVS Carbon을 활용한 함수량(Moisture content) 측정 방법 DVS 시험을 통해 25℃, RH 26% 환경을 가정하여 소재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방법 소재의 함수량 측정 개요 함수율(Moisture Content)은 다양한 소재의 보관 안정성, 흡습 특성, 가공 적합성 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MCC 분석 서비스인 DVS Carbon 분석을 활용하면 함수율을

By |2025-05-14T11:59:37+09:005월 14th, 2025|흡착분석|0 댓글

DVS 분석: 유럽약전(EP) 기준 흡습성(hygroscopicity) 시험

DVS를 통한 유럽약전(EP) 기준 흡습성(hygroscopicity) 시험 유럽약전에 기재되어 있는 흡습성 시험 방법에 따른 흡습성 판단 유럽약전의 흡습성 시험 방법과 흡습성 분류 기준 유럽약전에는 시료의 흡습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일정한 조건에서 시료를 보관한 뒤, 질량 변화를 기준으로 흡습성을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시험법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험

By |2025-04-30T17:00:36+09:004월 30th, 2025|흡착분석|0 댓글

DVS 분석조건 설정하기(time, dm/dt)

DVS 분석조건 설정하기(time, dm/dt) 스테이지를 변경하는 조건, 시간(time)과 질량변화율(dm/dt) 둘 중 무엇으로 하면 좋을까? Method 설정 자유도가 높은 DVS분석 수분흡착분석기, DVS는 분석 자유도가 아주 높아 설정해야 할 조건도 많은 편입니다. 그렇다 보니 조건을 설정할 때 특히 많은 분들이 더욱 까다롭게 느끼시는 것 같은데요. 오늘은 DVS 분석 조건

By |2025-04-30T14:18:37+09:0012월 24th, 2024|흡착분석|0 댓글

DVS를 이용해 흡착열(Heat of adsorption)을 구하는 방법

DVS를 이용해 흡착열(Heat of adsorption)을 구하는 방법 DVS Carbon 분석을 통해 수증기나 이산화탄소 흡착열 구하는 방법 흡착열의 개요와 측정하는 이유 ※ DVS Carbon을 통한 수분, 이산화탄소의 흡착 시 대부분의 경우에 발열 과정이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발열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흡착열(Heat of adsorption)은 기체 또는 액체 분자가 고체 표면에 흡착할

By |2025-04-30T14:15:53+09:0012월 20th, 2024|흡착분석|0 댓글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흡착 분석: DVS Carbon과 BET의 차이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흡착 방법: DVS Carbon과 BET 분석 대표적인 가스 흡착 분석법 중 하나인 DVS Carbon과 BET의 주요 특징 비교 BET와 DVS Carbon 개요 BET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것처럼 가스 흡착 분석기인 비표면적측정기의 작동 원리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의 흡착을 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설정한 압력만큼 기체를 조금씩 주입하고 각 압력

By |2025-04-30T14:10:45+09:0012월 12th, 2024|흡착분석|0 댓글

비표면적 측정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 분석의 특징

비표면적 측정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 분석의 특징 BET를 이용한 CO₂ 흡착 분석 결과의 특징 BET 분석에 다른 가스를 사용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BET 분석은 N₂, Ar 등의 불활성 기체를 이용하여 시료의 비표면적 및 기공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법 입니다. 하지만 해당 분석 기기를 불활성 기체가 아닌 CO₂ 가스를

By |2025-04-30T12:55:43+09:0012월 9th, 2024|흡착분석|0 댓글

조해가 일어나는 임계상대습도(CRH) 측정하기

조해가 일어나는 임계상대습도(CRH) 측정하기 DVS 분석을 통해 실제로 조해가 일어나는 습도를 찾는 방법 임계상대습도(CRH)는 Critical Relative Humidity의 약어로 조해성이 있는 물질이 공기 중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스스로 용해되기 시작하는 습도, 즉 조해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대습도의 임계 값을 의미합니다. 물질이 스스로 녹기 시작하는 조해(Deliquescence)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한 바

By |2025-04-30T12:52:40+09:0012월 5th, 2024|흡착분석|0 댓글

조해성(Deliquescence)을 DVS로 확인하는 방법

조해성(Deliquescence)을 DVS로 확인하는 방법 다양한 습도 환경에서 시료에 조해가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방법 조해성은 고체 상태의 어떤 물질이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해 흡수한 수분에 의해 스스로 용해(Dissolution) 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조해성은 대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인 흡습성(Hygroscopicity)과 관련이 있으며, 조해성 물질은 수분을 흡수하면 할수록 용해 에너지가 낮아져 물에

By |2025-04-30T12:50:03+09:0012월 3rd, 2024|흡착분석|1 댓글

DVS Carbon 분석을 통해 경쟁흡착을 확인하는 방법

DVS Carbon 분석을 통해 경쟁흡착을 확인하는 방법 수분과 이산화탄소의 선후 흡착을 통해 경쟁 흡착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이산화탄소 / 수분 동시 흡착을 검증하는 이유 이번 포스팅에서는 DVS Carbon 분석을 통해서 이산화탄소와 수분의 경쟁 흡착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이전에 한 번 다루었던 경쟁 흡착(Competitive adsorption)을 기억하시나요? 경쟁

By |2025-04-30T12:39:24+09:0011월 28th, 2024|흡착분석|0 댓글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