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 view STA를 통한 녹는점 분석

금속의 TG-DTA 분석을 통한 녹는점 측정 및 실시간 Real view 이미지 확인

Total Views: 167Daily Views: 1

금속의 Real view STA 분석

지난 포스팅에서는 고분자 소재의 열분해 과정을 TG-DTA를 활용해 데이터와 이미지로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속 시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할 경우,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분석 시료와 조건 설정

이번 분석에서는 인듐(Indium)을 시료로 사용하였습니다. 인듐은 열분석 기기의 온도 및 엔탈피 보정에 자주 활용되는 물질로, 상변화가 뚜렷하고 측정값의 재현성이 매우 높아 표준물질(Standard Material)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바로 분석 조건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분석 조건

  • 분위기 가스 (Atmosphere gas) : Nitrogen 99.999%
  • 분석 온도 범위 (Temperature range) : 100 ℃ ~ 250℃
  • 승온 속도 (Heating rate) : 10 ℃/min
  • 유량 (Flow rate) : 100 mL/min

인듐은 녹는점이 약 156.6℃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당 조건으로 분석했을 때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바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분석결과 : TG & DTA Curve

STA 분석은 하나의 실험으로 TG와 DTA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시료가 명확한 상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아래와 같은 뚜렷한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STA 분석은 하나의 실험으로 TG와 DTA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시료가 명확한 상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아래와 같은 뚜렷한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Indium의 STA 분석 결과(Curve)

STA(TG-DTA)를 통해 금속의 녹는점(Tm, Melting point) 측정

위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순수한 금속은 해당 온도에서 분해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TG 값에는 변화가 없으며,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반면, DTA 곡상에서는 뚜렷한 피크(Peak)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시료가 녹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함에 따라 시료와 기준 물질 사이에 온도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DTA는 이러한 온도 차이를 측정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이처럼 STA 분석을 활용하면 TG 분석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시료의 잠재적인 열적 특성까지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뚜렷한 상변화를 보이는 물질의 경우, 매우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저희 MCC에서 분석을 하게 되면 여기에 Real view 이미지 까지 더할 수 있으니 매우 효율적인 분석이 될 수 있겠습니다.

녹기 전의 인듐

녹은 후 인듐

MCC의 분석 서비스가 궁금하다면?

분석서비스 보러가기 >

더 유익한 분석 정보가 필요하다면?

다른 게시물 보러가기 >